한국뉴스

국정원 “김정은, 미국과 대화 의지 있어···정상회담 대비 동향 확인”

작성자 정보

  • CAEMCA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이종석 국가정보원장이 4일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원 국정감사에 출석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종석 국가정보원장이 4일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원 국정감사에 출석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가정보원이 4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계기 북·미 정상회담이 불발됐지만 북한이 물밑에서 대비해온 동향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확인됐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과 대화 의지를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르면 내년 3월 한·미 연합훈련 이후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국정원은 이날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 청사에서 진행된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정보위 여당 간사인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야당 간사인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국정원은 “북한이 미국 행정부의 대북 실무진 성향을 분석한 정황이 파악됐다”며 “김정은이 미국과 조건부 대화를 시사한 지난 9월 최고인민회의 이후 핵무장에 대한 직접 발언을 자제하면서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국정원은 또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 순방 시 김정은과 만남 의향을 표명한 상황에서 (북한이) 대화 여지를 감안해 최선희 외무상의 중국·러시아 방문을 막판까지 고심했던 정황도 포착됐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김정은이 대미 대화의 의지를 갖고 있으며 향후 조건이 갖춰지면 미국과 접촉에 나설 것”이라고 판단했다.

국정원은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며 “내년 3월 한·미 연합훈련이 정세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정원은 내년 2월에 개최될 것으로 보이는 노동당 9차 당대회를 맞아 북한이 열병식을 준비하는 동향을 포착했다며 이를 마무리하고 북·미 정상회담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국정원은 북한의 대남 정책에 대해 “(적대적) 두 국가 기조를 유지하면서 해외 공관에 한국 단체 접촉을 금지하고 한·미를 차별적으로 대응하는 원칙적 입장을 철저히 준수하라는 지침을 하달했다”며 “(한국과의) 관계 개선 여지를 지속적으로 차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북한이 적대적 두 국가론의 책임을 남한에 돌리기 때문에 당분간 관계 개선이 쉽게 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은 다수 병력을 러시아에 계속 파병하고 있다고 국정원은 전했다. 국정원은 “건설부대 5000여명은 지난 9월부터 러시아로 순차 이동 중”이라며 “인프라 복구에 동원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정원은 또 “북한 파병군 1만여명이 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부근에 전진 배치돼 경비 임무를 수행 중”이라며 “추가 파병된 공병 1000여명은 지뢰 제거에 투입됐다”고 보고했다.

북한이 러시아 도움을 받아 미사일 유도 성능과 정밀도 등을 개선하고 있다고도 했다. 국정원은 “무인기 개발도 진척 속도가 빨라 우리 안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며 “다만 극초음속 미사일과 정찰위성, 구축함은 실제 성능 구현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북한의 핵 잠수함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수중 무기체계 개발은 “진척이 더딘 상태”라고 국정원은 분석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 딸 김주애에 대해 “올해 처음 외교 분야까지 활동 반경을 넓히며 유력한 후계자로 입지를 다지는 중”이라며 “(김 위원장의 지난 9월) 중국 방문에 동행한 이후 공개 활동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예년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국정원은 “김주애는 9월4일부터 지금까지 최근 60일간 잠행 중으로 보인다”며 “후계 논의가 너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김정은에게 조명을 더욱더 집중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밝혔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